올해 소트니코바 선수의PCS 는 일정하게 쇼트에서는 30대, 프리에서는 60대를 기록했다. 그녀의 PCS가 놀랄 정도로 오르기 시작한 것은 유럽 선수권 때부터 다. 올림픽에서는 그것보다 더 올랐고. 피겨 스케이팅 기준으로 본다면 일약 증가이다. 문제는 소트니코바 선수가 그렇게나 더 받을 정도로 스케이팅 스킬이 더 좋아졌냐, 이다. PCS는 주관적인 부분이 어느 정도 존재하긴 한다. 그러나 주관성 그 자체는 아무런 변명도 되지 못한다. ISU는 룰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니 그런 것을 토대로 될 수 있는 한 객관적으로 채점해야 한다. 페어 플레이 정신을 받들고 싶다면 아무리 주관적인 점수라도 제시되어 있는 스탠다드를 토대로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소트니코바 선수의 PCS 상승은 그녀가 과연 실제로 카롤리나 코스트너나 연아 선수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는지 묻게 한다. 그들은 꾸준히 높은 PCS점수를 받아온 선수들이다. 그이런 탑싱들의 꾸준함과 소트니코바의 상승을 두고 본다면 연아 선수가 PCS에서 7점 대가 나왔다는 사실은 조금 헷갈리는 판정 수준이 아니다.
2. The edge call on the triple lutz
러츠 점프는 플립점프와 도약이 에지사용으로 구분된다. 러츠는 깊은 바깥 에지를 쓰고, 플립은 안쪽 에지를 쓴다. 만약 이 차이를 심판들이 무시한다면 점프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 것은 아무 소용 없는 일일 테다. 소트니코바는13 월드부터 COC, TEB, GPF, 유로핀까지 3Lz를 7번시도해서 6번 롱엣지 판정을 받았으나, 소치 올림픽에서는 잘못된 엣지사용에도 불구하고 롱엣지 마크가 뜨지 않았다.오히려 잘못 뛴 점프에 가산점을 받았다.현재 룰에 따르자면 심판들은 에지 콜에서도 수퍼 슬러우 모션 비디오로 감독할 수 있다. 그러고도 못 봤다고?
3. 3. The Under-rotation on the 3T in Sotnikova’s 3LZ – 3T in the free program
당연한 이야기지만 뛴 점프에 대하여 점수를 받으려면 완전히 회전됐거나 적어도 ISU가 용납하는 정도의 회전 수 안으로 수행했어야 한다. 소트니코바 선수의 트리플 토는 1/4이나 심지어 ½ 정도 까지 덜 돌았으며 슬로우 모션 없이 맨 눈으로도 보이는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그녀의 롱에지와 언더로테이션에 대한 추가 감점이 이루어졌어야 한다. 하지만 (감점) 대신, 그녀는 그 컴비네이션(점프)에 대한 가산점을(GOE) 받았다.
4. The minus GOE on Sotnikova’s 3F+2T+2Lo in the free program
이 세 번 연속 점프를 수행할 당시 소트니코바 선수는 마지막 점프에 착지 시 큰 실수가 있었다. 더블 룹에서 스텝아웃 (착지 시 중심을 잃으면서 휘청임)에다가 두 발로 랜딩 했다.그러면서 점프의 플로우가 굉장히 나빠졌다. ISU 가이드라인에 의하자면 그런 실수 (특히 두 발 착지는) -2 에서 -3 레벨의 GOE를 주는 것은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감점은 고작 -0.9다. 만약에 심판들이 -2 레벨이 적당했다고 생각했더라도 적어도 1.4 정도에 감점은 나왔을 것이다.